복원방식
항 목 |
기존 복원 시스템 |
BARS 시스템 |
|
잔존 전압 |
8V 이하 배터리는 복원 불가능 |
잔존 전류가 0이어도 복원 가능 |
|
전극 황화 |
전극 황화 심화인 경우 복원 불가능 |
전극 황화 심화와 상관 없이 98 % 복원 |
|
외부 손상 |
외면에서 구멍을 내어 활성 물질을 채워 복원 |
외면 손상 없이 내부 순환 두드림과 전류 공급으로 복원 |
|
자동 복원 |
반자동 복원 기능 |
자동 복원기능 회로 설계로 전자동 복원시스템 |
|
복원 가능 배터리 종류 |
납축전지만 복원이 가능 |
모든 종류의 배터리를 자동으로 복원 |
|
기 능 |
배터리 진단 기능 (세미오토) |
배터리의 다양한 상태를 진단하여 최적복원 기능 |
|
과전류, 과전압 방지 기능 (세미오토) |
과전류, 과전압 방지 기능으로 배터리 손상 방지 |
||
결 론 |
복원 방법이 단순함 |
전자식 자동 진단 기능이 있으며, 복합 요소를 고려 하여 최적의 복원 방법을 실행 |
|
잔존 전류 없으면 복원 불가능 |
물리적 손상이 없는 배터리라면 잔존 전류가 없어도 복원 가능 |
||
복원 가능 종류 제한 (납산) |
모든 종류의 배터리 복원 가능 |
||
가성비 낮음 |
가성비 높음 |
혁신적인 완전 자동화 복원 시스템
(Battery Automated Recovery System)
기존 충전 방식의 한계 |
기존 배터리 복원 방식의 문제점 |
BARS 시스템 특징 |
과충전, 과방전 문제 → 배터리 성능저하 가속화 |
물리적 교체 방식 : 비용이 높고 재사용 불가 |
자동복원 시스템 → 수작업 없이 효율적인 배터리 복원 가능 |
불균형 충전 → 셀 간 성능 차이 발생, 일부 셀 조기 노화 |
화학적 복원 방식 : 일부 성능 회복 가능하나 안전성 문제 존재 |
복원성능 우수 → 기존 방식 대비 높은 성능 유지 |
고온충전 문제 → 내부 화학반응으로 배터리 손상 위험 증가 |
기계적 복원 방식 : 수작업 필요, 복원률 낮음 (70% 이하) |
실시간 성능 감지 기술 → 배터리 수명 연장 및 유지 가능 |
전기차, ESS 등에 복원 가능, 2차 전지인 리튬 이온 배터리 전자동 복원, 세계 최초!